2018년 4월 18일 수요일
이동진 독서법(이동진, 2017),
pp. 25-26 (단편적 지식의 위험)
토마스 아퀴나스라는 중세 철학자가 이런 말을 했어요.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사람은 단 한 권의 책을 읽은 사람이다." <독일인의 사랑>을 썼던 막스 뮐러는 "하나만 아는 자는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 자이다"라고 말했어요. ... 단 하나만의 가치, 단 하나만의 잣대를 가진 사람은 굉장히 위험한 사람이지 않을까요. ... 현대 사회는 넓이가 중요합니다.
pp. 29-30 (문학을 읽는 이유)
그런데 왜 문학을 읽어야 하냐고 묻는다면 저는 두 가지 때문이라고 말해요. 하나는 인간이 한 번밖에 못 살기 때문입니다. ... 직접적인 경험보다 간접적인 경험이 더 핵심을 보게 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문학을 읽어야 하는 이유를 하나 더 들자면, 문학은 언어를 예민하게 다루기 때문입니다. ... 보통 언어는 도구라고 생각하지만 저는 도구가 아니라 생각 그 자체라고 말하고 싶어요.
p. 35 (행복을 위한 태도)
'아님 말로'라는 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정말 인생이 행복할 수 있어요.
p.41 (독서 습관)
제일 좋은 것은 책을 가방에서도 꺼내서 손에 들고 다니는 겁니다. ... 집 안에도 여기저기에 책을 두어야 합니다 ... 그야말로 책을 '뿌려두는 것'입니다. ... 책을 읽을 시간을 정해둔다면 그 시간을 지키지 못하게 될 변수가 생기는 순간 독서는 미뤄집니다. 그러니까 아예 책을 들고 다니면서 시간이 나면 언제든 읽을 준비를 하고 있는 게 좋습니다.
pp.45-46 (독서 장소)
욕조와 차에는 공통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무엇에게도 방해받지 않고 오롯이 혼자 있을 수 있는 좁은 공간에 들어가서 읽는 걸 즐기는 거죠.
p.51 (정리 습관)
책을 읽고 난 후 말을 하거나 쓰면서 생각과 느낌을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것이 독서 체험을 확장시키고 더 나은 독서로 이끕니다
pp.57-58 (독서 목적)
책을 읽는 목적은 책의 마지막까지 내달려서 그 끝에 있는 무언가를 얻어내는 데 있지 않습니다. 책장을 한 장 한 장 넘기는 데 걸리는 시간, 그 과정에 있는 겁니다... 그런데 저는 책 읽는 중간중간에 잠시 멈추는 것, 그것도 독서 행위이고, 더 나아가서 그것이 좋은 독서라고 생각합니다.
p.65 (초병렬 독서법)
여러 분야의 책을 읽는 방법을 '초병렬 독서법'이라고 한다는 걸 알게 되었는데.
p. 79 (독서는 혼자하는 행위)
17세기 철학자 파스칼의 말입니다. "오늘날 모든 불행의 근원은 한 가지다. 인간이 홀로 조용히 방에 머무를 수 없다는 사실이다."
p.79 (독서는 한 사람의 세계와 통째로 만나는 것)
한 사람이 책 한 권을 쓴다는 것은, 하나의 세계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하나의 주제 아래 자신의 지적인 세계를 만들어서 거기에 투사하는 것입니다.... 자기가 만들어낸 지적인 세계, 그러니까 한 사람의 세계와 통째로 만나는 것입니다.
p. 91 (과정 중심의 독서)
목적 중심적인 독서보다는 내가 묻고자 하는 것을 찾아가는 과정이 독서의 동인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 결과를 겨냥하고 책을 읽게 되면 독서를 '견디게' 되거든요.
pp.141-142 (행복은 강도가 아닌 빈도)
행복은 강도가 아니고 빈도라고. ... 저는 쾌락은 일회적이고, 행복은 반복이라고 생각해요. 쾌락은 크고 강렬한 것, 행복은 반복되는, 소소한 일상에 있는 일들이라고. 그래서 제가 항상 습관론이 나오게 되는데, 행복한 사람은 습관이 좋은 사람인 거예요.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좋은글좋은자료
다산연구소 http://www.edasan.org/html2/
-
Q: 자체심사 vs. 중투심 택지조성원가 추정시, 부가세 포함 v.s. 부가세 미포함 수요승수 66% - from wherre? 주택공급으로 인한 균형임대료의 변화 창원 사파지구 0. 창원시 747km2 109만 -2016년말 ...
-
p.16 (일상적인 것이 소중한 것!)우리는 일상성을 너무 무시하고 경제를 판타지처럼 생각했다. 그러다 보니 사회적인 것도 '비경제적인 것', 솔직한 마음으로는 찌질한 것이라고 무시하고 지냈다. p.54 (경제가 어려울 때 등장하...
-
중국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의 시기. 피를 팔아 가족을 부양해야 했던 허삼관에 관한 이야기. p.32 "여자를 얻고 집을 짓고 하는 돈은 전부 피를 팔아 벌어요. 땅 파서 버는 돈이야 겨우 굶어 죽지 않을 정도니까" p...
댓글 없음:
댓글 쓰기